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기도문 (prayers)
- Virtuozzo
- eclipse ide
- linux
- 식별자
- php
- RPM
- eclipse plugin
- iPhone
- MySQL Query
- Parallels
- お名前.com
- IDE
- OS X
- Plesk
- apache
- VPS
- Remote Desktop
- CentOS4
- 맥
- .bash_profile
- java
- 컴퓨터내 파일 검색
- server & linux
- mac
- Eclipse
- Windows XP
- aptana studio
- yum
- CentOS5
- Today
- Total
목록Windows (10)
n-n
소유하고 있는 노트북은 일본에서 구입한 울트라 북당연히 키보드 배열은 일본어인데, 윈도우 8.1 설치후 일본어 입력시 배열 설정이 한글로 되어 있어서 이를 변경해야 했는데... 윈도우7에서 보이던 자판을 변경하는 녀석이 제어판을 아무리 되져도 보이지 않는 것이었다. 심지어는 레지스트리를 변경하는 방법까지 있었으나,찾아본 결과 가장 간단한 방법은 장치 관리자에서 드라이버를 변경하는 것 자, 그럼 시작해보자... 현재 (제어판 > ) 장치관리자를 열면 다음과 같이 설정 되어 있다. 키보드 항목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면 팝업 항목에서 "드라이버 소프트웨어 업데이트(P)"를 선택한다. 그러면 드라이버 검색 질문이 나오는데, "컴퓨터에서 드라이버 소프트웨어 찾아보기(R)"을 선택한다.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일본산 포터블 노트북을 구입하고 한글 IME를 설치하였을 때, 아쉬운 점이 한영 전환키 혹은 우측의 alt 키가 없어 한글/영문간 전환시, 항상 마우스로 클릭을 해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윈도우의 레지스트리를 변경하지 않고, 키보드 조합으로 방법이 없을까 계속 찾아보았으나, 역시 레지스트리를 수정해야 했다. 다만, 한국의 웹사이트들에서 올려놓은 정보들은 더더욱 아쉽게도, 일본어 키보드 자판 배열자체도 한글 키보드 환경으로 바꾸어 놓아, 일본어 입력시에 불편했다는 것... 즉, 일본어 입력시, 반각/전각 키보드의 기능이 삭제되고, 우측의 []\@의 입력배치가 바뀌어 버린다는 것. 더군다나, 키보드 리매핑 프로그램을 깔아서 쓰는것도 번거로웠다. 해결 방법은 약간만 잔머리를 굴려서, 한글 입력 환경시에는 한..
역시 뒤져보니까, 모두들 무설치 버전들도 존재하였다. 속도면에서는 Everything 이 심플하고 압도적이었다. AVA Find 는 유료 전환해야 해서... 쩜... File Seeker는 옵션 부분이 맘에 들었다. 실험 과제 1 : 일본어 환경에서도 원활한 검색이 가능한가? 결과 : 모두들 검색에 문제가 없었다. 파일내의 일본어 텍스트 검색에도 에러는 없었다. 실험 과제 2 : 메일 검색도 가능한가? (Windows제공의 검색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이것이다.) 결과 : 아쉽게도 3가지 모두, 메일 검색은 불가능했다. 결론... : Outlook 내의 메일도 검색해야 하는 내 환경에서는 3종 프로그램은 NG 였다. 현재 Google Desktop 을 설치해서 실험중. 근데 로컬 하드 크롤링하는데..
기사명 : 당신의 파일은 어디에 있습니까? 파일 빠르게 찾는법 3가지 출처 : 보드나라 링크 : http://www.bodnara.co.kr/bbs/article.html?imode=view&D=7&cate=10&d_category=4&num=72059 요즘 들어서 컴퓨터 내에 쌓여만 가는 파일들에 날 잡아서 정리는 해야겠지만, 도통 짬은 안나고... 관심있는 기사가 있었다. 여기저기 찾아보면 되긴 하겠지만, 최근엔 이런 검색 작업도 귀찮고... 위의 기사에 대한 2가지 실험을 해보고 문제없으면 실제 도입을 해봐야겠다. 실험 과제 1 : 일본어 환경에서도 원활한 검색이 가능한가? 실험 과제 2 : 메일 검색도 가능한가? (Windows제공의 검색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이것이다.)
간단한 팁인데... 가끔 코맨드를 잊어먹어 컴퓨터를 재부팅하곤 한다는... --; 늘 올라운드로 다음과 같이 코맨드를 입력하면 되겠다. C:\>net use * /delete これらのリモート接続が存在します: \\Fileserver\専用:営業部 \\FILESERVER\専用:運営開発部 続行すると、接続は取り消されます。 この操作を続行しますか? (Y/N) [N]: y コマンドは正常に終了しました。 외워두자~!
초급팁이지만 매번 검색하기 귀찮아 내 블로그에 올려놓는다. 이미 사용중인 도메인의 정보를 수정할 필요없이, 새로운 개발 서버에서 마치 실제 서버같은 브라우저 테스트를 해야 할 때가 있다. 서버를 이전하기 직전이나, 로컬에 있는 테스트 서버에서의 동작 확인 등등... Plesk 경우에서는 마이그레이션 툴이 있으므로, 테스트 후 다른 VPS등에 이전하는 것도 쉽게 가능하다. 이를 위한 설정 방법으로는 로컬 컴퓨터의 hosts 파일을 일시적으로 변경하면 비공개 서버에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1. hosts 파일을 수정 파일이 저장된 곳이 OS마다 다르다는 것에 주의 Windows(9x, Me)의 경우 C:\Windows\hosts파일을 수정. 없을 경우에는 새롭게 작성 Windows2000의 경우 C:\WIN..
초보적인 지식...이지만, 서버 세팅으로 인해 도메인의 네임서버 정보를 변경했더니, 새로운 서버로 연결이 금방되지 않았다. 다른 지점의 컴퓨터에서 연결해봤더니, 새 서버로 연결이 되는데, 유독 작업을 진행하던 오피스의 컴퓨터들에서는 구 서버로만 접속이 된다. 해서 라우터에서 도메인으로 핑테스트를 했더니, 헉~! 라우터에서는 새로운 서버로 핑을 날리고 있었다. 다시 인트라넷의 DNS 서버에서도 핑을 날려보니 헉~! 인트라넷 DNS 서버에서도 새로운 서버로 핑을 날리고 있었다. 그렇담 문제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DNS 캐쉬에 문제로 판단... 검색을 해보니 많은 방법이 있었는데, 가장 확실한 정보는, 커맨트창에서 다음을 실행하는 것. ipconfig /flushdns
어렵지 않은 것이었는데, 의외로 기본적인 곳에서 막혀 있었다. vaware 가 인스톨 되어 있는 곳에서 다음과 같은 명령을 실행했더니 에러가... vmware-vdiskmanager.exe -x 12Gb C:\Documents and Settings\Administrator\My Documents\My Virtual Machines\Windows XP Professional\Windows XP Professional.vmxf 검색을 해보니, groove 님의 블로그에 예제안에 따옴표가 눈의 띄었다. http://blog.naver.com/grooves/140038651950 나 역시 혹시나 해서, 따옴표를 붙여보았다. vmware-vdiskmanager.exe -x 12Gb "C:\Documents an..
게으름의 산물... 포트번호를 3387로 설정했을 경우의 레지스트리 파일 나머지 설정에 대해서는 타 사이트를 참고하시길... 관련링크 네이버 검색 결과 : 원격데스크톱 포트 변경
Windows XP에서 작성한 공유폴더에 접속자수 무제한 (디폴트 10명)의 설정에도 불구하고, 클라이언트의 억세스 에러가 일어날 경우 위의 코맨드로 해결한다. 참고 http://itpro.nikkeibp.co.jp/article/COLUMN/20060614/240810/ 번역 : 타이틀 net config server 코맨드로 컴퓨터의 아이들세션의 시간을 제로로 한다. net config server /autodisconnect:0 예를 들어, Windows XP Professional을 파일 서버로서 사용하려고 할 경우 "컴퓨터의 접속수가 최대치를 초과하였으므로 더 이상 리코트 컴퓨터의 접속이 불가능합니다."라는 에러가 표시되고, 접속이 되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이것은 Windows XP Pro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