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Plesk
- java
- .bash_profile
- eclipse plugin
- server & linux
- RPM
- aptana studio
- VPS
- iPhone
- Virtuozzo
- CentOS4
- Windows XP
- Parallels
- Remote Desktop
- お名前.com
- MySQL Query
- yum
- linux
- IDE
- CentOS5
- 맥
- 컴퓨터내 파일 검색
- 기도문 (prayers)
- eclipse ide
- 식별자
- Eclipse
- apache
- mac
- php
- OS X
- Today
- Total
목록Parallels (7)
n-n
전에 포스팅 한 도큐멘트 루트 디렉토리 밖의 파일을 인클루드 할 때 :: PHP 을 해결하고 나서 또다시 만난 Plesk Panel 운영상의 돌발 상황! 애써 파일 인클루드 환경을 설정했는데, 도메인 설정을 바꾸고 나니 인클루드에 또 실패를 한 것이다. 제길~! 혹시나 해서 이것저것 살펴보다 알게된 것은, Apache 설정이 방금전의 도메인 설정 변경으로, Plesk Panel의 디폴트 값으로 돌아간 것. 다시 설명하자면, Plesk Panel에서 도메인 세팅을 바꾸면, 애써, 커스터마이즈 한 httpd.include 파일이 Plesk Panel의 디폴트 값으로 돌아가버려, PHP 인클루드가 실패하는 에러를 뿜어낸다! 해결을 위한 가장 중요한 파일은 /var/www/vhosts/[도메인]/conf/htt..
아, 계속되는 무한 삽질 Plesk는 도메인을 추가하면, Skeleton에 의해 기본적인 디렉토리가 다음과 같이 설치된다. 문제는, 자동으로 설정되는 디렉토리 등의 설정에 의해 도큐멘트 루트 디렉토리 밖의 파일을 인클루드 할 수 없다는 것. Smarty 작업을 하다보니, 템플릿 파일이나 설정 파일은 웹상에 공개해서는 안되므로, 어떻게든 도큐멘트 루트 디렉토리 밖에서 관리해야 하는데... 이는 PHP의 open_basedir와 직결되는 문제이므로, open_basedir에 해당 디렉토리를 설정해주면 된다. PHP 공식 사이트에서 메뉴얼을 살펴보니, .htaccess 파일에서는 설정이 안된단다... 쩝... PHP 파일내에서, ini_set 변경도 안 먹힌다... 쓰..버... 그렇담, 아파치의 .conf ..
음... 이번에 또 새롭게 VPS를 도입하면서 알게 되었는데, plesk power panel 에서 "Packages(패키지 관리)"라는 메뉴가 도입되었다. 이것으로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하면 될거라는 필이 꽂혀 혹시나하고 설치 가능한 패키지에서 yum이 있는지를 검색해보았더니, 빙고! 앞뒤 가릴 것 없이, 이 패키지 관리 페이지에서 yum을 설치하고, 쉘로 들어가서 필요한 패키지를 까는것이다. 이렇게 하면 plesk 환경을 직접 건드리지 않고, 최적화된 패키지 관리가 가능하리라 본다. 참고로, yum 설치 후 php-mcrypt을 인스톨 하는 쉘화면을 캡춰했다. Using username "root". Last login: Thu Jan 29 10:24:20 2009 from XXX.XXX.ne.XX [..
마이그레이션 전의 Plesk는 8.3 / 마이그레이션 후의 Plesk는 8.6 마이그레이션으로 사이트를 옮기고, SSI를 유효화 하였으나, 디자이너가 작업한 홈페이지에서 인클루드 기능이 제대로 동작하질 않았다. 아무런 의심없이 계속 Plesk 내부를 뒤져봤으나 삽질... 혹시나 해서 전 서버의 apache conf 파일과 새 서버의 conf 파일을 비교하다가 발견~ 확장자 지정이 되어 있질 않았다. 쓰버... 어쩌면... 예전 서버도 내가 일부러 변경했을지도... --; AddType text/html .shtml AddOutputFilter INCLUDES .shtml ↓ 로 변경 AddType text/html .shtml .html AddOutputFilter INCLUDES .shtml .html..
검색으로 우선 여러 정보들을 수집하고 나서 컨테이너의 재인스톨을 감행하였다. 우선, 먼저 선행해야 할 것은 HSPc 에서 Backup 어플리케이션을 언인스톨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재인스톨할 때 오류가 나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그림 참조 그리고 나서 Virtuozzo 에 들어가서 재인스톨을 하기만 하면 모든게 끝! メンテナンス (Maintenance) -> 再インストール (Reinstall) 그림은 컨테이너를 가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메시지이다. 컨테이너를 정지시켜야 재인스톨이 활성화 된다. 어쨌든, 재인스톨을 실행하고 나면 초기화된 컨테이너가 마련되지만, 문제는 언어팩이 적용되지 않는 영문 Plesk 의 화면이 되며, 더더욱 문제는 영문 언어팩 이외의 언어를 선택할 수 없는 상황이..
Plesk 컨트롤 판넬에서 서브 도메인을 추가할 때 FTP 계정은 주어지지만, SSH로 접속이 안된다. 실은 이것이 FTP 계정을 주는게 아니라, 원래는 유저를 등록해주지만, 보안을 위해서 SSH 접속을 차단하고 FTP만 개방하는 것이었다. 즉, http://mydomain.com 이라는 사이트에서 서브 도메인으로 http://sub.mydomain.com 을 등록하고 FTP 계정 아이디 (실은 유저 아이디) 를 test 로 했다고 치자면, 이 test 아이디로, FTP 로 mydomain.com 에 로그인하면, /var/www/vhosts/mydomain.com/subdomains/sub 가 루트 디렉토리가 되어 접속이 된다. 문제는 FTP 로 밖에 접속이 안되므로, tar 등의 압축파일 조작도 힘들다..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은 VPS 호스팅 업체의 환경이다. (특히 일본에서) Parallels사의 Plesk 를 이용한 VPS 호스팅 업체들이 많이 있는데, Parallels Virtuozzo Containers Box Parallels Plesk Panel Box 접속만 root지 루트 권한에 여러 제한이 많은 업체들도 있으니 제대로 확인할 것! 심지어는 tar 압축/해제도 지원 안하는 곳도 있으니까 말이다... 우리나라에서도 whois 코리아가 Parallels 사의 VPS 솔루션으로 호스팅을 하고 있는 것 같은데, 상세는 확인하지 않아서 모르겠다. Plesk 와 함께 Virtuozzo Container 를 쓸 수 있는 환경이라면, 거의 전용서버를 다루는 것과 비슷한 환경에서 서버를 이용할 수 있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