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식별자
- 컴퓨터내 파일 검색
- OS X
- php
- IDE
- 기도문 (prayers)
- Windows XP
- お名前.com
- MySQL Query
- aptana studio
- 맥
- server & linux
- linux
- java
- RPM
- iPhone
- apache
- Parallels
- Eclipse
- VPS
- Plesk
- CentOS5
- yum
- mac
- .bash_profile
- CentOS4
- Remote Desktop
- eclipse plugin
- eclipse ide
- Virtuozzo
- Today
- Total
목록CentOS5 (13)
n-n
초기 서버 상태에는 yum 이 설치 되어 있지 않음. 참고한 사이트에서의 링크가 이미 무효로 되어 있어 (현재 CentOS 최신 버전은 5.5이므로), 다음과 같이 링크를 변경해주고 설치했음. $ wget http://vault.centos.org/5.3/os/x86_64/CentOS/m2crypto-0.16-6.el5.3.x86_64.rpm $ wget http://vault.centos.org/5.3/os/x86_64/CentOS/python-elementtree-1.2.6-5.x86_64.rpm $ wget http://vault.centos.org/5.3/os/x86_64/CentOS/python-sqlite-1.1.7-1.2.1.x86_64.rpm $ wget http://vault.centos..
음냐... 지금까지 서버 관리해오면서 무시해오고 있었던 것인데, 왠지 불안한 조짐이 보여서, 표준 퍼미션에 대해서 정보를 찾고 있는 중이다. 우선은 일부분만이라도 퍼미션을 조정하고 나중에 자료 정리를 하도록 하자. 현재 검색해서 보니 자료들이 예전 커널들의 리눅스가 대부분이라, CentOS 5.2 에서 퍼미션 조정을 하는 과정에서 파일/디렉토리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에러가 많이 뜬다... 쩝... 암튼... 잊어버리지 않도록 우선 메모하는 차원으로 자료를 기록하겠다. 검색 결과 기록 linux 보안 퍼미션 - Google 검색 http://www.google.co.kr/search?complete=1&hl=ko&lr=&newwindow=1&q=linux+%EB%B3%B4%EC%95%88+%ED%8D%BC%..
전에 포스팅 한 도큐멘트 루트 디렉토리 밖의 파일을 인클루드 할 때 :: PHP 을 해결하고 나서 또다시 만난 Plesk Panel 운영상의 돌발 상황! 애써 파일 인클루드 환경을 설정했는데, 도메인 설정을 바꾸고 나니 인클루드에 또 실패를 한 것이다. 제길~! 혹시나 해서 이것저것 살펴보다 알게된 것은, Apache 설정이 방금전의 도메인 설정 변경으로, Plesk Panel의 디폴트 값으로 돌아간 것. 다시 설명하자면, Plesk Panel에서 도메인 세팅을 바꾸면, 애써, 커스터마이즈 한 httpd.include 파일이 Plesk Panel의 디폴트 값으로 돌아가버려, PHP 인클루드가 실패하는 에러를 뿜어낸다! 해결을 위한 가장 중요한 파일은 /var/www/vhosts/[도메인]/conf/htt..
아, 계속되는 무한 삽질 Plesk는 도메인을 추가하면, Skeleton에 의해 기본적인 디렉토리가 다음과 같이 설치된다. 문제는, 자동으로 설정되는 디렉토리 등의 설정에 의해 도큐멘트 루트 디렉토리 밖의 파일을 인클루드 할 수 없다는 것. Smarty 작업을 하다보니, 템플릿 파일이나 설정 파일은 웹상에 공개해서는 안되므로, 어떻게든 도큐멘트 루트 디렉토리 밖에서 관리해야 하는데... 이는 PHP의 open_basedir와 직결되는 문제이므로, open_basedir에 해당 디렉토리를 설정해주면 된다. PHP 공식 사이트에서 메뉴얼을 살펴보니, .htaccess 파일에서는 설정이 안된단다... 쩝... PHP 파일내에서, ini_set 변경도 안 먹힌다... 쓰..버... 그렇담, 아파치의 .conf ..
음... 이번에 또 새롭게 VPS를 도입하면서 알게 되었는데, plesk power panel 에서 "Packages(패키지 관리)"라는 메뉴가 도입되었다. 이것으로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하면 될거라는 필이 꽂혀 혹시나하고 설치 가능한 패키지에서 yum이 있는지를 검색해보았더니, 빙고! 앞뒤 가릴 것 없이, 이 패키지 관리 페이지에서 yum을 설치하고, 쉘로 들어가서 필요한 패키지를 까는것이다. 이렇게 하면 plesk 환경을 직접 건드리지 않고, 최적화된 패키지 관리가 가능하리라 본다. 참고로, yum 설치 후 php-mcrypt을 인스톨 하는 쉘화면을 캡춰했다. Using username "root". Last login: Thu Jan 29 10:24:20 2009 from XXX.XXX.ne.XX [..
마이그레이션 전의 Plesk는 8.3 / 마이그레이션 후의 Plesk는 8.6 마이그레이션으로 사이트를 옮기고, SSI를 유효화 하였으나, 디자이너가 작업한 홈페이지에서 인클루드 기능이 제대로 동작하질 않았다. 아무런 의심없이 계속 Plesk 내부를 뒤져봤으나 삽질... 혹시나 해서 전 서버의 apache conf 파일과 새 서버의 conf 파일을 비교하다가 발견~ 확장자 지정이 되어 있질 않았다. 쓰버... 어쩌면... 예전 서버도 내가 일부러 변경했을지도... --; AddType text/html .shtml AddOutputFilter INCLUDES .shtml ↓ 로 변경 AddType text/html .shtml .html AddOutputFilter INCLUDES .shtml .html..
검색으로 우선 여러 정보들을 수집하고 나서 컨테이너의 재인스톨을 감행하였다. 우선, 먼저 선행해야 할 것은 HSPc 에서 Backup 어플리케이션을 언인스톨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재인스톨할 때 오류가 나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그림 참조 그리고 나서 Virtuozzo 에 들어가서 재인스톨을 하기만 하면 모든게 끝! メンテナンス (Maintenance) -> 再インストール (Reinstall) 그림은 컨테이너를 가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메시지이다. 컨테이너를 정지시켜야 재인스톨이 활성화 된다. 어쨌든, 재인스톨을 실행하고 나면 초기화된 컨테이너가 마련되지만, 문제는 언어팩이 적용되지 않는 영문 Plesk 의 화면이 되며, 더더욱 문제는 영문 언어팩 이외의 언어를 선택할 수 없는 상황이..
Plesk 컨트롤 판넬에서 서브 도메인을 추가할 때 FTP 계정은 주어지지만, SSH로 접속이 안된다. 실은 이것이 FTP 계정을 주는게 아니라, 원래는 유저를 등록해주지만, 보안을 위해서 SSH 접속을 차단하고 FTP만 개방하는 것이었다. 즉, http://mydomain.com 이라는 사이트에서 서브 도메인으로 http://sub.mydomain.com 을 등록하고 FTP 계정 아이디 (실은 유저 아이디) 를 test 로 했다고 치자면, 이 test 아이디로, FTP 로 mydomain.com 에 로그인하면, /var/www/vhosts/mydomain.com/subdomains/sub 가 루트 디렉토리가 되어 접속이 된다. 문제는 FTP 로 밖에 접속이 안되므로, tar 등의 압축파일 조작도 힘들다..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은 VPS 호스팅 업체의 환경이다. (특히 일본에서) Parallels사의 Plesk 를 이용한 VPS 호스팅 업체들이 많이 있는데, Parallels Virtuozzo Containers Box Parallels Plesk Panel Box 접속만 root지 루트 권한에 여러 제한이 많은 업체들도 있으니 제대로 확인할 것! 심지어는 tar 압축/해제도 지원 안하는 곳도 있으니까 말이다... 우리나라에서도 whois 코리아가 Parallels 사의 VPS 솔루션으로 호스팅을 하고 있는 것 같은데, 상세는 확인하지 않아서 모르겠다. Plesk 와 함께 Virtuozzo Container 를 쓸 수 있는 환경이라면, 거의 전용서버를 다루는 것과 비슷한 환경에서 서버를 이용할 수 있다. 다..
거...으...참.... 부팅할 때마다, 하드디스크 연결이 끊기는 관계로 매우 짜증나고 있음... 우선은 메모를 해두고, 설정 스크립트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찾아보는 것으로 하고, 일단은 참고한 사이트가... centos usbハードディスク 自動マウント vfat - Google 検索 http://www.google.co.jp/search?hl=ja&rlz=1T4GZEZ_jaJP282JP283&q=... はじめての自宅サーバ構築 Fedora/CentOS - 物理ディスクの増設 http://kajuhome.com/disk_extension.shtml 시간이 없는 관계로, 내가 해결한 방법은 $ mkdir /media/disk $ mount /dev/sdb1 /media/disk 를 실행한 후, webmin 을..
DNSサーバー構築(BIND) - CentOSで自宅サーバー構築 http://centossrv.com/bind-centos5.shtml 를 참조하여 사내 DNS 서버를 잘 사용하고 있었는데, 빌딩내의 정전 안내로 인해 사전 테스트로 사내의 전 네트워크 기기를 재시동을 하고 나니, 왠걸... 직원들 불만이 이만저만 아니더라... 웹사이트에 접속하는데 반응이 느리다고... 거...참... 바쁠때 이런 장애가... 쩝 구글에서 검색... dns 反応が遅い - Google 検索 http://www.google.co.jp/search?sourceid=navclient&hl=ja&ie=UTF-8&rlz...... 여기서 답변을 찾았다. No.16973 LAN内のDNSが正常に動かない。 http://sakaguch.com..
다음을 살펴보자... [root@company ~]# smbldap-populate Populating LDAP directory for domain WORKGROUP (S-1-5-21-1153481521-3496755048-900298837) (using builtin directory structure) adding new entry: dc=company,dc=intra failed to add entry: modifications require authentication at /usr/sbin/smbldap-populate line 498, line 2. adding new entry: ou=Users,dc=company,dc=intra failed to add entry: modifications..
리눅스에서 자유로워지려면 얼마나 많은 삽질을 해야하는가? 무한 삽질 지겹다... 후우~ 디폴트 언어를 영어로 하여, 리눅스를 인스톨 하면, X-windows 환경에서 한글 / 일본어 폰트가 제대로 표현되지 않는다. 물론 패키지 설치로 한글 / 일본어 랭귀지 지원을 추가 설치하여도, 왠걸... 나의 내공으로는 영~~ 그렇다고 허접하게 config 파일들을 건드릴 수도 없고.. 여기서 구매한 잡지를 들춰보다가 다음과 같은 코맨드가 있어 시도를 해 본 결과 대성공! ( 인스톨 과정도 함께 설치를 했어야 하는데... --; ) 예 1 $ su - # yum groupinstall japanese-support -x xorg-x11-server-Xorg # exit 위의 코맨드를 실행하기 이전에, 한글 랭귀지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