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linux
- 기도문 (prayers)
- java
- 식별자
- Parallels
- VPS
- CentOS4
- Plesk
- Virtuozzo
- 컴퓨터내 파일 검색
- apache
- aptana studio
- Remote Desktop
- Windows XP
- MySQL Query
- お名前.com
- mac
- iPhone
- server & linux
- php
- IDE
- eclipse plugin
- eclipse ide
- CentOS5
- OS X
- RPM
- yum
- .bash_profile
- Eclipse
- 맥
Archives
- Today
- Total
n-n
hosts 파일을 수정하여 비공개 서버에 접속하기 본문
초급팁이지만 매번 검색하기 귀찮아 내 블로그에 올려놓는다.
이미 사용중인 도메인의 정보를 수정할 필요없이,
새로운 개발 서버에서 마치 실제 서버같은 브라우저 테스트를 해야 할 때가 있다.
서버를 이전하기 직전이나,
로컬에 있는 테스트 서버에서의 동작 확인 등등...
Plesk 경우에서는 마이그레이션 툴이 있으므로,
테스트 후 다른 VPS등에 이전하는 것도 쉽게 가능하다.
이를 위한 설정 방법으로는
로컬 컴퓨터의 hosts 파일을 일시적으로 변경하면
비공개 서버에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1. hosts 파일을 수정
파일이 저장된 곳이 OS마다 다르다는 것에 주의
- Windows(9x, Me)의 경우
C:\Windows\hosts파일을 수정. 없을 경우에는 새롭게 작성
- Windows2000의 경우
C:\WINNT\system32\drivers\etc\hosts파일을 수정. 없을 경우에는 새롭게 작성
- WindowsXP의 경우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파일을 수정. 없을 경우에는 새롭게 작성
- unix계통 OS(Linux등)의 경우
/etc/hosts를 수정
2. 파일 내용의 수정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새롭게 내용을 기입하여 저장하면 된다.
예를 들면, 도메인이 domain.com이고 IP어드레스가 xxx.xxx.xxx.xxx인 경우,
메모장등으로 다음의 내용 등을 추가하면 된다.
xxx.xxx.xxx.xxx www.domain.com
xxx.xxx.xxx.xxx domain.com
xxx.xxx.xxx.xxx domain.com
나의 경우는 이렇다.
실제 운영중인 서버는, www.mydomain.com, IP는 123.123.123.123
테스트용 서버는 test.mydomain.com, IP는 192.168.0.100 (내부의 로컬서버)
그렇담, 다음과 같은 설정이 된다.
123.123.123.123 mydomain.com
123.123.123.123 www.mydomain.com
192.168.0.100 test.mydomain.com
위의 hosts 파일을 변경하면,123.123.123.123 www.mydomain.com
192.168.0.100 test.mydomain.com
변경을 조작한 컴퓨터에서 설정 파일에 기입한 도메인으로의 접근이 가능하게 되고,
모든 기능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중요한 것은, 점검이 완료되면 hosts 파일을 원래대로 돌려놓자.
hosts 파일을 신규 작성하여야 할 때,
확장자가 존재하게 되면 반영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확장자가 없는 hosts라는 파일명이어야 한다.
확장자를 표시하지 않도록 설정된 windows일 경우에는,
파일의 확장자를 제거할 수 없으므로,
다음과 같은 순서로 파일을 작성하도록 하자.
[제어판]→[폴더 옵션]→[표시]를 연다.「알려진 파일 형식의 파일 확장명 숨기기」에 체크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체크되어 있을 경우에는 체크를 풀어준다.
그리고, hosts.txt에서 .txt 확장자를 제거하여,
hosts 로 저장한다.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심기사] 컴퓨터 내의 파일 빠르게 찾는법 3가지 (0) | 2009.08.17 |
---|---|
TIP : 공유 폴더에 다른 계정으로 접속(로그인)하기 (0) | 2009.05.07 |
DNS 캐쉬 제거 관련하여 (0) | 2009.01.22 |
원격 데스크톱 레지스트리 변경용 파일 (port 3387) (0) | 2008.08.12 |
"net config server /autodisconnect:0" 으로 공유폴더의 동시 접속자 수 에러 대책 (0) | 2008.03.12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