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VPS
- お名前.com
- OS X
- server & linux
- Windows XP
- Plesk
- iPhone
- mac
- php
- eclipse ide
- .bash_profile
- RPM
- Eclipse
- yum
- 맥
- Parallels
- aptana studio
- apache
- 식별자
- java
- 컴퓨터내 파일 검색
- IDE
- linux
- Virtuozzo
- CentOS5
- 기도문 (prayers)
- CentOS4
- MySQL Query
- eclipse plugin
- Remote Desktop
Archives
- Today
- Total
n-n
Plesk VPS에서 서브 도메인을 설정할 때... 본문
Plesk 컨트롤 판넬에서 서브 도메인을 추가할 때
FTP 계정은 주어지지만, SSH로 접속이 안된다.
실은 이것이 FTP 계정을 주는게 아니라,
원래는 유저를 등록해주지만,
보안을 위해서 SSH 접속을 차단하고 FTP만 개방하는 것이었다.
즉, http://mydomain.com 이라는 사이트에서
서브 도메인으로 http://sub.mydomain.com 을 등록하고
FTP 계정 아이디 (실은 유저 아이디) 를 test 로 했다고 치자면,
이 test 아이디로, FTP 로 mydomain.com 에 로그인하면,
/var/www/vhosts/mydomain.com/subdomains/sub
가 루트 디렉토리가 되어 접속이 된다.문제는 FTP 로 밖에 접속이 안되므로,
tar 등의 압축파일 조작도 힘들다는 것이다.
SSH 로 접속을 해야 하는데, 여기에 관련된 설정은
/etc/passwd
파일에 그 힌트가 있다.
파일 내용을 보면, 서브 도메인을 등록하면서 유저 아이디를 등록하는데,
방금전에 말한것 처럼, SSH 접근을 제한하므로 다음과 같이 되어버린다.
test:x:10004:2524::/var/www/vhosts/mydomain.com/subdomains/sub:/bin/false
여기서 이 false 를 bash 로 변경해주면 쉘접근이 가능해짐!
test:x:10004:2524::/var/www/vhosts/mydomain.com/subdomains/sub:/bin/bash
주의할 것은 서브 도메인 접속용 아이디로 SSH접속하면
설정된 서브도메인 디렉토리 이외에
다른 디렉토리가 노출이 되므로 보안상 위험하다는 것!
설정된 서브도메인 디렉토리 이외에
다른 디렉토리가 노출이 되므로 보안상 위험하다는 것!
잊지 않도록 하자.
※ 여기서 언급하는 서버 환경은
의 경우일 때이다.
- root 로 VPS에 접속이 가능하다는 것
- root 에 대한 권한 제한이 거의 없다는 것
(전 포스트를 참조한다.)
'Linux > Ples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큐멘트 루트 디렉토리 밖의 파일을 인클루드 할 때 :: PHP (0) | 2009.01.29 |
---|---|
Virtuozzo4에서는 yum 설치가 plesk panel에서 가능 (0) | 2009.01.29 |
마이그레이션 후, 아파치 설정이 다를 수 있는 점에 늘 주의하자. (0) | 2009.01.27 |
컨테이너 재인스톨 후 영문 이외에 언어로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지 않는 경우 (0) | 2009.01.27 |
Plesk의 VPS 환경 내에서 yum 인스톨 (0) | 2009.01.08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