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linux
- Virtuozzo
- VPS
- apache
- MySQL Query
- iPhone
- eclipse ide
- 컴퓨터내 파일 검색
- CentOS5
- server & linux
- php
- 기도문 (prayers)
- IDE
- Windows XP
- CentOS4
- 맥
- 식별자
- aptana studio
- Plesk
- Parallels
- java
- yum
- RPM
- Remote Desktop
- お名前.com
- Eclipse
- mac
- .bash_profile
- OS X
- eclipse plugin
Archives
- Today
- Total
n-n
컨테이너 재인스톨 후 영문 이외에 언어로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지 않는 경우 본문
검색으로 우선 여러 정보들을 수집하고 나서 컨테이너의 재인스톨을 감행하였다.
우선, 먼저 선행해야 할 것은
HSPc 에서 Backup 어플리케이션을 언인스톨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재인스톨할 때 오류가 나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그림 참조
그리고 나서 Virtuozzo 에 들어가서 재인스톨을 하기만 하면 모든게 끝!
メンテナンス (Maintenance) -> 再インストール (Reinstall)
그림은 컨테이너를 가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메시지이다.
컨테이너를 정지시켜야 재인스톨이 활성화 된다.
어쨌든, 재인스톨을 실행하고 나면 초기화된 컨테이너가 마련되지만,
문제는 언어팩이 적용되지 않는 영문 Plesk 의 화면이 되며,
더더욱 문제는 영문 언어팩 이외의 언어를 선택할 수 없는 상황이 된다.
그림에서 보면 알수 있지만,
이미 영문 언어팩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언어를 사용할 수가 없다.
이 경우는,
Server -> Database Servers -> Local MySQL Server 에 들어가서
DB WebAdmin을 클릭하여 phpMyAdmin 을 실행한다.
여기서, Plesk 설정 관련의 psa 데이터 베이스를 선택하여
다음과 같은 쿼리를 날린다.
그리고나서, Plesk 에서 로그아웃하고 다시 로그인 하면,
일본어로 된 Plesk를 확인할 수 있다!
기록으로 쿼리를 텍스트로도 남긴다.
USE psa;
UPDATE clients SET locale = 'ja-JP' where locale = 'en-US';
UPDATE dom_param SET val = 'ja-JP' WHERE val = 'en-US';
UPDATE mn_param SET val = 'ja-JP' WHERE val = 'en-US';
UPDATE misc SET val = 'ja-JP' WHERE val = 'en-US';
UPDATE clients SET locale = 'ja-JP' where locale = 'en-US';
UPDATE dom_param SET val = 'ja-JP' WHERE val = 'en-US';
UPDATE mn_param SET val = 'ja-JP' WHERE val = 'en-US';
UPDATE misc SET val = 'ja-JP' WHERE val = 'en-US';
'Linux > Ples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큐멘트 루트 디렉토리 밖의 파일을 인클루드 할 때 :: PHP (0) | 2009.01.29 |
---|---|
Virtuozzo4에서는 yum 설치가 plesk panel에서 가능 (0) | 2009.01.29 |
마이그레이션 후, 아파치 설정이 다를 수 있는 점에 늘 주의하자. (0) | 2009.01.27 |
Plesk VPS에서 서브 도메인을 설정할 때... (0) | 2009.01.09 |
Plesk의 VPS 환경 내에서 yum 인스톨 (0) | 2009.01.08 |
Comments